
イエスの純福音・無教会の精髄・第二の宗教改革へ
― まごころで聖書を読む。そして、混迷の時代を神への信頼と希望をもって、力強く前進する ―
We read the Bible with all our hearts. And we move forward powerfully in this era of turmoil with trust and hope in God.
■上の「ネットエクレシア信州」タッチでホーム画面へ移動
Move to home screen by touching “NET EKKLESIA” above.
最終更新日:2025年11月12日
■サイト利用法はホーム下部に記載
< 神学研究(神学・論文&教義学)
神学・論文 023
2025年9月13日
2025年9月25日改訂
さかまき・たかお
The Possibility of a New Theory
of Grace Atonement
은총 속죄론의 가능성
恩寵贖罪論の可能性
-個人の救済と暴力と分断に満ちた世界の変革のために-
For Personal Salvation and Transformation
of a Violent and Divided World
by TAKAO SAKAMAKI
개인의 구제와 폭력과 분단으로 가득한 세계의 변화를 위해
□The English translation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is page.
■한국 번역은 이 페이지의 뒷부분에 있습니다.
注:この小論は、神学・論文〖恩寵贖罪論〗の要旨を兼ねています。
小論を読んだあとは、神学・論文022〖恩寵贖罪論〗に進まれることをお勧めします。
関連リンク Related Links
■関連文献 Related Documents
☆キリスト教入門〖 歴史的事実としてのイエスの生涯 / The Life of Jesus as Historical Fact〗へ
■日本語讃美 Japanese Hymns
☆詩歌・讃美歌 〖馬ぶねの中に / In the Manger〗へ
■心震わせる英語讃美 Heart-stirring Singing of English Hymn
☆讃美 Laura Bretan〖ヴィア・ドロローサ Via Dolorosa / 十字架の道 The Way of the Cross 〗YouTubeへ
☆音楽・映像と歌詞和訳〖ヴィア・ドロローサ / Via Dolorosa 〗へ
■日本語讃美 Japanese Hymns

すべての人の、赦しと救いのために
To Forgive and Save All
* * * *
恩寵贖罪論の可能性
さかまき・たかお
これらはすべて神から出ています。
神はキリストを通して私たちをご自分と和解させ、また和解の務(つと)めを私たちに授けてくださいました。
(コリントⅡ 5:18、聖書協会共同訳)
1.恩寵贖罪論とは
・キリスト教における新しい贖罪論-恩寵贖罪論(おんちょうしょくざいろん、恵みによる罪の赦し)-は、次のような基本的視点を持つ。
すなわち、神の無償の愛(アガペー、άγάπη)と赦しこそが、人間の罪(、ひいては、それに起因する社会と世界の問題、環境問題等)を根本的に解決するものという視点である。
恩寵贖罪論は、この視点によって、従来の贖罪理解-罪の赦しについての考え方-を再構築しようとする試みである。
・この贖罪論は、伝統的な「刑罰代受説」や「満足説」の教説に対する批判的検討から生まれたもので、神の〈加虐性〉や〈暴力性〉を否定し、より平和的で包摂的な神理解を目指す。
2.恩寵贖罪論の核心
① 神の恩寵による赦し
・父なる神は人間の罪に対して「報復(=処罰)」によってではなく、無償の愛(アガペー)に基(もと)づく「赦し」で応答する。
・聖書の証言に基づき、恩寵贖罪論は、キリストの十字架は神の怒りの発露(はつろ)ではなく、神の愛と赦しの究極的な表現であると受けとめる。
・罪の赦しは、神の自由かつ絶対的な恩寵(=十字架の祈りに表れた神の恵み)によって与えられるものであり、代償、罪の負債に対する支払いを必要とせず、人間の側の業績(善行)も「正しい」信仰も必要条件とされない。
・恩寵贖罪論は、時空の隔(へだ)たり(時代と場所の違い)を超え、すべての人- 万人(ばんにん)-に開かれた救いの道を指し示す(※)。
② 暴力の否定と平和の福音
・高橋三郎(1920~2010、無教会第3世代の代表的指導者)は、イエスの十字架刑について、次のように指摘する。
歴史的事実としては、ユダヤ教の大祭司を頂点とするサンヘドリン(最高法院)の要人たちが、ローマの官憲や群集までも巻き込み、イエスを十字架の死へと追い詰めて行った。
つまり、人間が神の子(つまり神)を裁くという宗教的倒錯がここに噴出したのであり、十字架という残忍な処刑の仕方の中に、人間の残虐性(=暴力性)が、恐ろしいまでに立ち現れている。
しかもイエスは、自分を十字架に付けた敵を詛(のろ)うことなく、彼らの赦しを神に祈られた。
こうして十字架は、神が人間の宗教的倒錯と暴力性をあばくと共に、それに対し非暴力で応答された場であった(※)。
・恩寵贖罪論は、キリスト教に内在する〈加虐性〉(従来の贖罪論が、神を罰を与える「恐怖の存在」として描くことと連動)を克服し、《平和の福音》(エフェソ 6:15)を回復する道として提示されている。
・この《平和の福音》によってキリスト教は、暴力と分断に苦しむ現代世界に対し、《真(まこと)の平和》(シャーローム)を語ることができる(※、注1)。
③ 和解と再生の物語
・恩寵贖罪論においては、贖罪(罪の赦し)は、「罪の負債に対する支払い」の問題ではなく、「神との和解」と「新しい命への招き」の出来事として理解される。
・イエスの生涯と十字架は、神が人間と共に歩み、人間の苦しみを担(にな)い、人間を赦しと再生へと導く物語であり、啓示の出来事-インマヌエル預言(イザヤ 7:14)の成就-である。
3.恩寵贖罪論の可能性と意義
神理解(神観)、人間理解、教会(エクレシア)の使命、社会的応用における恩寵贖罪論の可能性は、以下の通りである。
① 神理解
神は「罰する存在」ではなく、「赦す存在」として再定義される。
② 人間理解
・神の審判に「おびえる罪人」としての人間ではなく、罪を悔い、父なる神の許(もと)に立ち帰って「赦される存在」として理解される(ルカ 15:11~24「いなくなった息子の譬(たと)え」参照)。
・この人間理解は、罪悪感や自己否定に苦しむ現代人に対して「赦されている」という平安と安心感を与える(※)。
③ 教会(エクレシア)の使命
・神の裁きに対する恐れではなく、神の赦しと和解による喜びと感謝を告げる共同体としての教会(エクレシア)。
・他者のために生きた《十字架の主》に倣(なら)い、聖霊(=生けるイエスの霊)に導かれつつ、エクレシアは《世のために存在する教会》(D・ボンヘッファー)として地上を歩む(※)。
④社会的応用
・神の赦しに根ざした信仰は、暴力や差別を否定し、平和と共生を促進する(信仰と倫理の統合)。(※)
・恩寵贖罪論は、暴力や報復による分断と敵対ではなく、相互の対話と赦し、平和を基盤とした社会倫理を構築する。
・このような贖罪理解は、現代の暴力や分断に満ちた世界において、キリスト教が果たすべき役割を再定義する可能性を秘めている。
特に、無教会主義や内村鑑三の思想にも通じる「絶対他力による、赦しと和解」や「神との直接的な関係性(=制度宗教の媒介を必要としない、神との生きた交わり)の回復」が、恩寵贖罪論の根底に流れている。
参照サイト: 1 ixthus.jp 2 www.netekklesia.com
♢ ♢ ♢ ♢
(上の短文1~3は、表題の質問に対するMicrosoft AI「Copilot」の回答例に対し、「恩寵贖罪論」の著者さかまきが推敲(すいこう)と補足を加え、※マークの付いた文章を追加したもの)
注1 シャーローム
〈シャーローム〉( Shalom、ヘブライ語 שלום )は、単に「争いのない状態」としての平和ではなく、神によって与えられる霊的、精神的、社会的なあらゆる面での満ち溢(あふ)れた平安・真の平和を意味する。
旧約聖書は、このような平和の状態がメシア(救世主)の到来によって実現すると預言した。
そして新約聖書は、《平和の君》イエスによって、〈シャーローム〉は実現したと告げる。
「闇の中を歩んでいた民は大いなる光を見た。死の陰(かげ)の地に住んでいた者たちの上に光が輝いた」(旧約聖書イザヤ書 9章1節)
「私は世の光である。私に従う者は闇の中を歩まず、命の光を持つ」(イエス・キリストの言葉、新約聖書ヨハネ福音書 8章12節)
(注1の参考文献:鍋谷堯爾(ぎょうじ)ら監修『聖書神学事典』いのちのことば社、2010年、592~596項)
英 訳
□ English translation
The Possibility of a New Theory
of Grace Atonement
by TAKAO SAKAMAKI
All this is from God, who reconciled us to himself through Christ, and has given us the ministry of reconciliation.
- 2 Corinthians 5:18,NRSV -
1. What is the doctrine of Grace Atonement?
- The new Christian theory of atonement - the theory of grace atonement (forgiveness of Sin by grace) - has the following basic perspective:
Namely, the perspective is that God's unconditional love (agape : άγάπη) and forgiveness are what fundamentally solve human Sin (and, ultimately, the resulting social and global problems, environmental issues, etc.).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theory of atonement by grace is an attempt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atonement -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forgiveness of Sin.
- This doctrine was born out of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traditional doctrines of "penal substitution" and "satisfaction," in particular, and rejects God's "sadistic" and "violent" nature, aiming for a more peaceful and inclusive understanding of God.
2. The Core of the Grace Atonement Theory
① Forgiveness by God's Grace
- God the Father responds to human Sin not with "retribution" (i.e., punishment), but with "forgiveness" based on unconditional love (agape).
- Based on biblical testimony, the theory of grace atonement recognizes that the crucifixion of Christ was not an expression of God's wrath, but the ultimate expression of God's love and forgiveness.
- Forgiveness of Sin is given by God's free and absolute grace (= God's grace expressed in the Prayer of the Cross), and does not require compensation or payment of the debt of Sin, nor is it a prerequisite for human achievement (good deeds) or "correct" faith.
- The theory of grace atonement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age and place) and points out to people a path to salvation that is open to all.(※)
② Rejection of Violence and the Gospel of Peace
- Saburo Takahashi (1920-2010, a leading figure in the third generation of non-church movements) makes the following point about Jesus' crucifixion:
As a historical fact, the important members of the Sanhedrin (the highest court), headed by the Jewish high priest, and with the help of Roman authorities and even the masses, drove Jesus to his death on the cross.
In other words, this was the outpouring of religious perversion, in which humans judged the Son of God (i.e., God), and the brutal method of execution by crucifixion revealed in a terrifying way the cruelty (i.e., violence) of human beings.
Nevertheless, Jesus did not curse his enemies who crucified him, but instead prayed to God for their forgiveness.
The cross thus marked God's exposure of human religious perversion and violence, and His nonviolent response.
- The theory of grace atonement is presented as a way to overcome the "sadism" inherent in Christianity (which is linked to traditional theories of atonement portraying God as a "fearful being" who punishes) and restore the "gospel of peace" (Ephesians 6:15).
- Through this "Gospel of Peace," Christianity can speak of "true peace" (shalom) to a modern world suffering from violence and division (※, Note 1).
③ A Story of Reconciliation and Rebirth
-In the theory of grace atonement, atonement (forgiveness of Sin) is understood not as a matter of "paying the debt of Sin" but as an event of "reconciliation with God" and "an invitation to new life."
- The life and crucifixion of Jesus is the story of God walking with humanity, bearing their suffering, and leading them to forgiveness and rebirth; it is an event of revelation - the fulfillment of the Immanuel prophecy (Isaiah 7:14).
3. The Potential and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Atonement by Grace
The potential of the theory of atonement by grace in understanding God (view of God), understanding humanity, the mission of the church (ecclesia), and social application is as follows:
① Understanding God
God is redefined as a "forgiving being" rather than a "punishing being."
② Understanding Humanity
- Understand humans not as "sinners terrified" by God's judgment, but as "forgiven beings" who have repented of their Sin and returned to God the Father (see Luke 15:11-24, "The Parable of the Lost Son").
- In this way, the doctrine of atonement by grace provides modern people who suffer from guilt and self-denial with the peace and security of knowing they have been forgiven.(※)
③ The Mission of the Church (Ecclesia)
- The Church (Ecclesia) as a community that proclaims joy and thanksgiving through God's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rather than fear of God's judgment.
- Following the example of the Lord of the Cross, who lived for others, and guided by the living Jesus (the Holy Spirit), Ecclesia walks the earth as "The Church for the World." (D. Bonhoeffer).(※)
④ Social Applications
- Faith rooted in God's forgiveness rejects violence and discrimination and promotes peace and coexistence (integration of faith and ethics).(※)
- The theory of grace atonement builds a social ethic based on mutual dialogue, forgiveness, and peace, rather than division and hostility caused by violence and retaliation.
- This understanding of atonement has the potential to redefine the role that Christianity should play in today's world, which is filled with violence and division.
The theory of atonement by grace is based on the idea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with God through absolute other-power" and "restoration of a direct relationship with God (i.e., living communion with God without the need for the mediation of institutional religion)," which is particularly common in the thought of Uchimura Kanzō and non-churchism.
Reference websites: 1 ixthus.jp 2 www.netekklesia.com.
♢ ♢ ♢ ♢
(The above short sentences 1 to 3 are sample answers from Microsoft AI "Copilot" to the question in the title, which Sakamaki, the author of "Grace Atonement," has revised and added, and the sentences marked with ※ have been added.)
□ This essay also serves as a summary of Theology Essay 022, "Atonement by Grace."
After reading this essay, I recommend you move on to Theology Essay 022, "Atonement by Grace."
Note 1: Shalom
Shalom (Hebrew: שלום) does not simply refer to peace as the absence of conflict, but rather to true peace, an abundance of spiritual, mental, and social peace bestowed by God.
The Old Testament prophesied that this state of peace would be realized with the coming of the Messiah.
The New Testament declares that shalom was realized through Jesus, the "Prince of Peace."
"The people who walked in darkness have seen a great light; on those who dwelt in the land and shadow of death, a light has dawned" (Isaiah 9:1, Old Testament)
"I am the light of the world. He who follows me will not walk in darkness, but will have the light of life" (John 8:12, New Testament)
(Reference for Note 1: Encyclopedia of Biblical Theology, edited by Gyouji Nabetani et al., Word of Life Press, 2010, pages 592-596)
* *
韓国語訳
■ 한국어 번역
은혜로 인한 죄 사함
은총 속죄론의 가능성
사카마키 타카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하나님께로부터 났으며, 그가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자기와 화목하게 하시고 우리에게 화목하게 하는 직분을 주셨으니
(고린도 II 5:18)
1. 은총 속죄론이란
・기독교의 새로운 속죄론 - 은총 속죄론 (은혜로 인한 죄 사함) -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 관점을 가진다.
즉, 하나님의 무료사랑(아가페, άγάπη)과 용서가 인간의 죄(, 나아가서는 그것에 기인하는 사회와 세계의 문제, 환경문제 등)를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관점이다.
은총 속죄론은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속죄 이해 - 죄 사함에 대한 사고 방식 -을 재구성하려는 시도입니다.
・이것은, 특히 전통적인 「형벌대 수설」이나 「만족설」의 교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부터 태어난 것으로, 하나님의 <가학성>이나 <폭력성>을 부정하고, 보다 평화적이고 포섭적인 신 이해를 목표로 한다.
2. 은총 속죄론의 핵심
① 하나님의 은총에 의한 용서
・아버지 하나님은 인간의 죄에 대하여 「보복(=처벌)」에 의해서가 아니라, 무료의 사랑(아가페)에 근거하는 「용서」로 응답한다.
・성경의 증언에 근거하여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하나님의 분노의 발로가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과 용서의 궁극적인 표현이라고 받아들인다.
・죄의 용서는 하나님의 자유롭고 절대적인 은총(=십자가의 기도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며, 대가, 죄의 부채에 대한 지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인간의 측의 업적(선행)도 「올바른」신앙도 필요조건으로 되지 않는다.
・은총 속죄론은 시공(시대와 장소)의 격차를 넘어 만인에게 열린 구원의 길을 가리킨다.(※)
② 폭력의 부정과 평화의 복음
・다카하시 사부로(1920-2010, 무교회 제3세대의 대표적 지도자)는 예수의 십자가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역사적 사실로서는 대제사장을 정점으로 하는 산헤드린의 요인들이 로마의 관헌과 군집까지도 말려들어 예수를 십자가의 죽음으로 몰아갔던 것이며 인간이 하나님의 아들( 즉 신)을 심판한다는 [인간의] 종교적 도착이 여기에 분출한 것이며, 십자가라는 잔인한 처형의 방법 속에, 인간의 잔학성(=폭력성)이, 무서운 때까지 나타나고 있습니다.” 게다가 예수께서는 자신을 십자가에 붙인 적을 사기 없이 그들의 용서를 하나님께 기도하셨다.
이와 같이 십자가는 하나님께서 인간의 종교적 도착과 폭력성을 폭로함과 동시에 그에 비폭력으로 응답하신 장소였다.(※)
・은총 속죄론은 기독교에 내재하는 <가학성>(종래의 속죄론이 하나님을 벌을 주는 '공포의 존재'로서 그리는 것과 연동)을 극복하고 《평화의 복음》(에베소 6:15)을 회복하는 길로 제시되어 있다.
・이《평화의 복음》에 의해 기독교는 폭력과 분단에 시달리는 현대세계에 대해《진정한 평화》(샬롬)을 말할 수 있다(※, 주1).
③ 화해와 재생의 이야기
・은총 속죄론에 있어서는 속죄(죄의 용서)는 「죄의 부채에 대한 지불」의 문제가 아니라 「신과의 화해」와 「새로운 생명에의 초대」의 사건으로 이해된다.
・예수의 생애와 십자가는 하나님이 인간과 함께 걸어 인간의 고통을 맡고 인간을 용서하고 재생으로 이끄는 이야기이며 계시—임마누엘 예언(이사야 7:14)의 성취—의 사건이다.
3. 은총 속죄론의 가능성과 의의
신이해(신관), 인간이해, 교회(에클레시아)의 사명, 사회적 응용에 있어서의 은총 속죄론의 가능성은 다음과 같다.
①신 이해
신은 '벌하는 존재'가 아니라 '용서하는 존재'로 재정의된다.
② 인간 이해
・하나님의 심판에 “겁먹는 죄인”으로서의 인간이 아니라, 죄를 회개하고 아버지 하나님의 용서(원래)로 돌아가 “용서받는 존재”로서의 인간으로서 이해된다(누가복음 15:11~24, "사라진 아들의 봉사"참조).
・이를 통해 은총 속죄론은 죄악감이나 자기 부정으로 고통받는 현대인에게 '용서받고 있다'는 평안과 안심감을 준다.(※)
③ 교회(에클레시아)의 사명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하나님의 용서와 화해에 의한 기쁨과 감사를 전하는 공동체로서의 교회 (에클레시아).
・다른 사람을 위해 살았던 《십자가의 주》를 만나 살아가는 예수(=성령)로 인도되면서, 에클레시아는 《타자를 위해 존재하는 교회》(D·본헤퍼)로서 지상을 걷는다.(※)
④ 사회적 응용
・하나님의 용서에 뿌리를 둔 신앙은 폭력과 차별을 부인하고 평화와 공생을 촉진한다(신앙과 윤리의 통합).(※)
・은총 속죄론은 새로운 속죄론이다. 이는 폭력이나 보복에 의한 분단과 적대가 아니라 상호의 대화와 용서해 평화를 기반으로 한 사회윤리를 구축한다.
・이런 속죄 이해는 현대의 폭력과 분단으로 가득 찬 세계에서 기독교가 해야 할 역할을 재정의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치무라 감조의 사상이나 무교회주의에도 통하는 「절대 타력에 의한 용서와 신과의 화해」나 「신과의 직접적인 관계성(=제도 종교의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신과의 살아 있는 교제)의 회복」이 은총 속죄론의 근저로 흐르고 있다.
참조 사이트: 1 ixthus.jp 2 www.netekklesia.com.
♢ ♢ ♢ ♢
(위의 단문 1~3은, 표제의 질문에 대한 Microsoft AI 「Copilot」의 회답예에 대해, 「은총 속죄론」의 저자 사카마키가 추억과 보충을 더해 ※마크가 붙은 문장을 추가한 것입니다.)
■ 이 소론은, 신학·논문 “은총 속죄론”의 요지를 겸하고 있습니다. 소론을 읽은 후에는, 신학·논문 022 “은혜 속죄론”으로 진행되는 것을 추천합니다.
주1 샬롬
<샬롬>( Shalom, 히브리어 שלום )은 단순히 '싸움 없는 상태'로서의 평화가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영적, 정신적, 사회적인 모든 면에서의 가득한 평안·진정한 평화를 의미한다.
구약성경은 이러한 평화의 상태가 메시아(구세주)의 도래에 의해 실현된다고 예언했다. 그리고 신약성경은 《평화의 너》 예수에 의해 〈샤롬〉이 실현되었다고 말한다.
「어둠 속을 걷고 있던 백성은 큰 빛을 보았다. 죽음의 그늘에 살았던 자들 위에 빛이 빛났다」(구약 성서 이사야 9:1)
「나는 세상의 빛이다. 나를 따르는 자는 어둠 속을 걷지 않고 생명의 빛을 가진다」(예수 그리스도의 말씀, 신약 성서 요한복음 8:12)
(주 1의 참고 문헌 : 나베타 니 죠지 등 감수 『성서 신학사전』 생명의 말사, 2010년, 592~596항)
- 023-